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사가 말하기를 가르칠 때에 주의하여야 할 점

by toyong 2022. 4. 5.

스피킹은 기억한 내용을 바탕으로 묻고 답하는 경직된 퀴즈쇼와 다릅니다. 학습자가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친숙하고 친절한 분위기, 좋아하는 음료, 따뜻한 느낌 등 학생의 정서 상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이런 부분이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구체적으로 교사는 어떤 상황을 고려하여야 할까요? 해당 포스팅에서는 이에 관한 내용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1. 스피킹 지도 전략

스피킹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언어 정체성 이해하고 키워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영어를 제2외국어로 배우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모국어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언어 정체성이란, 학생들이 사용하는 모국어에 기반하여 성립된 언어적 정체성입니다. 학생들이 제2외국어를 사용하게 되면, 기존 가지고 있던 정체성과 다른 정체성으로 전환 (Switch) 합니다. 학생들이 이러한 과정을 겪을 때 편안하게 자신의 새로운 언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도록 교사들은 학생들을 지원하여야 합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다양한 범위를 아우르는 질문: 취미, 심오한 생각, 여행, 과학적 견해 등 다양한 내용의 질문을 학생에게 던집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활발한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2) 학생에게 적합한 학습 환경 제공: 환경이 사람들에게 주는 영향은 아주 강력합니다. 학생들이 머무르는 공간을 꾸밀 때, 제2외국어의 문화와 언어를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신경 쓰도록 합니다. 벽의 사진이나, 선반의 책을 고르는 것 같은 작은 요소에도 관심을 기울입니다.

(3) 적극적인 피드백 상호활동: 학생들이 자주 하는 실수를 무시하고 넘어가지 않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피드백을 전달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실수를 고쳐주어야 합니다.

(4) 난이도가 높은 과제: 학생들이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때때로 수행하게 합니다. 이러한 과제는 학생들이 학습을 할 수 있는 동기가 되기도 하고, 성공적으로 과제를 마쳤을 때 큰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