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어 스피킹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Speaking)

by toyong 2022. 4. 2.

영어를 듣고 이해하거나 읽고 이해하는 것에 문제가 없는데 유난히 스피킹 (Speaking)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발화가 어려운 이유에는 정말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실제 언어를 생산 (Produce)하는 데에는 생각보다 더 큰 노력이 필요합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스피킹을 어렵게 하는 요소들에 대해서 차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스피킹 (Speaking)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

(1) 상호작용 효과 (The interaction effect): 화자가 발화할 때 자신의 생각에 관해서만 생각하고 발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아이디어 또한 고려해야 하는 상황일 때에는 발화가 더욱 조심스럽게 일어납니다. 이처럼 화자와 청자 간 상호 관계를 고려하는 것이 스피킹을 어렵게 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응답에 따라 화자가 발화 중에 논점을 변경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합니다.

(2) 5시간 문제 (5-hour problem): 이 상황은 많은 학습자가 겪고 있는 문제 상황 중 하나입니다. 발화 시간이 절대적으로 모자라는 상황입니다. 일주일에 5시간의 영어 수업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대부분의 영어 수업은 언어 노출에만 집중된 시간인 경우가 많습니다. 수업 시간은 정해져 있고, 각 학습자가 수업 내에서 발화할 기회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발화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학생에게 주어지지 않는 상황을 말합니다.

(3) 교실 내 학생 수 (Class size): 상단의 문제와 맥락이 이어지는 문제입니다. 교실 내 학생이 지나치게 많으면, 당연하게도 각 학생이 교사와 상호작용할 기회는 줄어듭니다. 교사가 대부분의 대화를 끌고 나가는 전통적인 교실의 경우에는 더욱 더 이러한 문제가 두드러집니다. 실제로 교육 시간 대비 학생들이 타깃 언어를 발화하는 시간을 조사한 내용을 보면, 일주일 동안 7분 정도로 매우 제한적이었습니다. 교사들은 이런 내용을 믿기 힘들어했는데, 해당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교사와 학생 간 쌍방향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착각 (The illusion of interactivity) 때문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교실 내에서 일어나는 소음을 듣고 선생님은 해당 소음을 상호작용의 증거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상호작용이 아닌 의미없는 소음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시간 내에 교실을 돌아다니며, 실제로 어떤 일이 교실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을 하려고 노력하여야겠습니다.

(4) 감정적 요소 (Affective factors):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요소 또는 상황들이 화자가 어떻게 말하는지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5) 대화 상대에 따른 발화 효과 (interlocutor effect): 어떤 사람에게 말하고 있는지에 따라 화자의 발화 형식이나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6) 모방 발화 (Imitative speaking): 학습자들은 수업 내에서 종종 잘 듣고 따라 할 것을 요구받게 됩니다. 대부분은 교사의 언어 구사 방식을 따라 할 것을 요구받게 됩니다. 이러한 내용은 의미나 대화의 구조 보다, 문법이나 발음과 같은 것에 초점이 맞춰질 때가 많습니다.

(7) 정확한 발화 (Intensive speaking): 문법적으로, 어휘적으로, 음운론적으로 정확도 높은 발화를 요청받을 때, 학생들은 발화의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이전에 배웠던 오디오 언어 접근 방식 (Audio-linguistic approach)에서 자주 사용된 방식입니다.

(8) 즉각적인 발화 (Responsive speaking): 현대의 언어 학습 교실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즉흥적인 질문과 응답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수업 환경입니다. 학생들이 질문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응답하여야 하는 해당 환경이 어떤 때에는 발화를 어렵게 하는 환경일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발화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종합적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이유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문법적으로 또는 어휘적으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인풋을 받아들이고 발화 연습하는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입니다. 두 번째로는 충분한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논점을 이어가는 활동과 피드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입니다. 결과적으로는 두 가지 요소는 모두 중요하며,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균형적으로 학습을 진행해야 하겠습니다.